방역 당국-축산 농가 찬반 논란

“효과적 대안” 닭 6만여마리 매몰

“살처분보다 야생조류 모니터링을”

예방적 살처분을 실시한 철원 한 농가의 폐사한 닭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 확진 판정이 나온 가운데 살처분 효과를 놓고 찬반 논란이 일고있다.AI가 발생한 뒤에야 법석을 떠는 ‘사후약방문’식 대응이라는 점에서 축산농가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지만 방역당국은 가축전염병 추가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예방적 살처분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14일 도에 따르면 방역당국은 AI가 확인되면 반경 500m 이내를 관리지역,3㎞ 보호지역,10㎞ 예찰지역으로 방역대로 설정하고,감염여부에 관계없이 해당 농가와 주변 농가 가금류를 예방적 살처분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지난 1일 철원의 산란계 농장에서 도내 첫 AI확진 농가가 나오면서 도는 이날 현재까지 해당 농가와 인근 농가 등 3곳에서 닭 6만1407마리를 살처분했다.지난 13일 오후 이미 예방차원에서 살처분이 실시된 농가의 닭에서 H5N6형 고병원성 AI바이러스가 검출,도내에서 두번째 확진판정을 받았다.예방적 살처분을 통한 추가 확산을 최소화 한 것이다.두번째로 확진 판정을 받은 농가는 도내 첫번째 확진 농가와 600여m 떨어져 있다.도 관계자는 “저병원성과 달리 고병원성에 대해서는 예방접종을 실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예방적 살처분과 소독만이 현재로서는 가장 효과적인 대안”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예방적 살처분이 감염 가금류는 물론 멀쩡한 닭과 오리까지 매몰하는 사후 대응이라는 점에서 축산농가들의 불만이 크다.춘천에서 산란계 농가를 운영하는 김모(60)씨는 “정부는 해당 농가와 주변 농가의 닭을 무차별 매몰하는 임기응변식 대응만을 되풀이 하고 있다”며 “무차별적 살처분보다 AI를 전파하는 야생조류를 철저히 모니터링해 AI 예보제를 시행하는 등 선제적인 차단 방역에 집중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종재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