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대형 공연 협찬 등 주저
의존도 가장 높은 클래식 직격탄
기획사 ‘영란 티켓’ 등 대책 강구

▲ ‘김영란법’으로 불리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이 시행 100일을 넘긴 가운데 공연계는 “진짜 위기는 올해부터”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본사 DB

‘김영란법’으로 불리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청탁금지법)이 시행 100일을 넘긴 가운데 공연계는 “진짜 위기는 올해부터”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청탁금지법이 시작된 지난해에는 기업들이 이미 대형 공연에 대한 협찬금 책정을 마무리한 상황이었지만,올해부터는 본격적으로 공연예술 분야로의 지원을 감축할 것이라는 관측이다.특히 기업 후원 의존도가 높았던 클래식 업계는 티켓값을 2만5000원까지 낮춘 ‘영란 티켓’을 내놓는 등 여러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공연업계에 따르면 기업들은 올해 열릴 예정인 대형 공연들에 대한 협찬 결정을 눈에 띄게 미루고 있다.그런 탓에 1년 치 라인업을 미리 짜놓는 공연업계 특성상 청탁금지법이 시행된 작년보다 올해 본격적인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가장 직격탄을 맞은 곳은 기업 의존도가 높은 클래식 업계다.은행·카드사를 중심으로 한 대기업은 그간 클래식 공연 협찬 비용의 30~50%를 티켓으로 환산받아 고객 초청이나 거래처 접대에 사용해왔다.그러나 초대권을 받는 이들 중 청탁금지법 적용 대상이 상당수 포함될 수 있어 티켓 제공이 자칫 법 위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 기업들이 극도로 몸을 사리는 것이다.

한국메세나협회가 작년 11월 메세나(기업이 문화예술활동에 자금이나 시설을 지원하는 활동) 활동을 하는 기업 80곳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기업과 예술계 간의 협력활동이 위축될 것’이라고 답한 곳은 70.8%였다.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막연한 심리적 위축(52.9%),관계자 초청 등 공연티켓 활용도 저하에 따른 메세나 활동의 실제적 필요성 감소(37.3%),접대비 및 홍보비 등 관련 예산 삭감(9.8%) 등을 꼽았다.클래식 공연계는 티켓 가격을 낮추고 유료 관객 수를 늘리며 위기 타개에 나섰다.

작년 말 한 대형 클래식 기획사는 티켓 가격을 2만5000원에 맞춘 이른바 ‘영란 티켓’을 내놓아 화제를 모았다.명지휘자 마리스 얀손스가 이끄는 독일의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BRSO) 공연의 2층과 3층석 전체를 C석으로 조정하고 해당 좌석의 티켓 가격을 7만 원에서 2만5000원으로 낮춘 것이다.

2만5000원이면 티켓 2매를 선물해도 법이 정한 허용가격(5만원)을 넘지 않는다.이 기획사는 올해부터 공연 좌석 등급을 기존 5등급에서 4등급으로 조정하는 결정도 내렸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