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동계올림픽 유산 관리 연구 최종 보고서에 ‘기금 신설’ 제안

작년에 2018평창동계올림픽 사후 관리 문제를 놓고 주체마다 다양한 논의를 했다. 국내외를 다니면서 평창 정선 강릉이, 강원도와 문화체육관광부가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해 왔고.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경기장이 잘 지어지고 성공적으로 올림픽이 치러졌다 하더라도 메가 국제 스포츠 행사에서 얻어낸 ‘유산(Olympic legacy)을 어떻게 이어갈 것인가’가 결국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성패를 결정짓는다 하여 지나치지 않기 때문이다.

예컨대 작년에 평창군은 대표단을 해외에 파견해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유산 관리 체계와 2017~2020년까지의 유산 수집 계획을 공유하면서 올림픽 유산 사후 활용 방안을 모색해 왔다. 또 이를 테면 국제 올림픽 전문가 장루 샤플래 교수의 경우 “올림픽 사후 유산을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문 조직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는 곧,올림픽 중대사가 사후 관리임에도 이렇다 할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다는 점이 적지 아니 신경 쓰인다는 얘기다.

올림픽 행사를 마친 뒤 시설 운영비 부족이 그야말로 뜨거운 감자인데,말만 무성하고 해결의 실마리를 잡지 못한 실정이다. 민간에서의 사후 활용은 논외라 하더라도 스피드스케이팅장, 알펜시아 슬라이딩 센터, 알펜시아 스키점프·크로스컨트리센터, 바이애슬론센터 등의 관리 운영에 현실적 대안이 찾아지지 않는다. 그리하여 도가 ‘어떻게 하면 시설 및 유산의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화를 이뤄낼 수 있을 것인가’를 용역하게 됐는데, 엊그제 그 최종 보고서가 발표됐다.

2018평창동계올림픽 유산관리를 위한 재원확보 및 운영방안 수립 연구용역 최종보고서는 “올림픽 성공 개최 여부는 경제적 가치가 아니라 대회 후 남겨진 올림픽 유산으로 평가한다.”며 “동계올림픽 유산 관리는 한국 동계스포츠 경쟁력 극대화의 핵심 인프라를 관리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이로 보면 유산은 결국 인프라이며,이의 관리가 성패를 좌우한다는 얘기다.그리하여 보고서는 “올림픽 유산 관리 주체는 안정적인 운영비를 제공할 수 있는 국민체육진흥공단이어야 하며. 그러자면 신규 기금 마련이 전제돼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이 같은 진단이 나왔다면 올림픽 유산 사후 관리가 여전히 미지수인 현실 속에 지금부터 즉각 국민체육진흥법 개정 등 전략적 구체적 접근에 들어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