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사업체 100곳 중 3곳 불과
지역 간 총소득·경제성장 격차↑
상의 SGI “산업 역동성 강화해야”

강원지역 사업체 100곳 중 첨단기술 분야는 3곳 수준에 불과한 가운데 지역 불균형 성장 문제를 해결하려면 지역의 개별 상황을 고려한 지역균형발전 정책과 특화기업 육성이 필요하다는 보고서가 잇따라 나와 주목된다.

23일 통계청 통계지리정보서비스를 통해 2021년 기준 강원지역 총사업체 1만6828곳을 분석한 결과 첨단기술 분야는 472곳(2.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창의 및 디지털 541곳(3.2%), 고기술 1272곳(7.6%), 정보통신(ICT) 1384곳(8.2%)으로 고부가가치 분야산업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중기술 1864곳(11.1%), 전문서비스 4849곳(28.8%), 저기술 6446곳(38.3%) 등 저기술, 전문서비스 업종의 집적도가 높았다.

첨단기술 산업 비중이 낮은 강원지역의 경우 강원지역 1인당 지역총소득(GRDP)은 2019년 2939만7000원에서 2020년 2889만1000원으로 1.7% 감소했고 2021년(3107만4000원)은 7.5% 증가한 수준에 그쳤다.

반면 창의 및 디지털, ICT 등의 집적도가 높은 서울은 2019년 4869만3000원, 2020년 4900만6000원, 2021년 5457만1000원으로 0.6%, 11.3% 증가하는 등 큰 격차를 보였다.

대한상공회의소 SGI(지속성장이니셔티브)는 이날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산업역동성 비교와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지역내총생산(GRDP)이 위축되고 인구 유출 등으로 소멸 위기에 빠진 지역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산업역동성 강화가 필수적이다”며 “지역별로 특화된 혁신기업의 탄생과 성장, 글로벌 선도기업 유치 등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조성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SGI가 금융위기 전후 경제성장률을 계산한 결과 2000~2007년에는 수도권(5.4%)-비수도권(4.9%)의 격차가 0.5%p에 불과했지만 금융위기 이후 2010~2021년에는 각각 3.4%와 1.9%로 격차가 1.5%p 확대됐다.

대한상의 SGI 김천구 연구위원은 “탄소중립, 디지털전환 등 산업 패러다임 전환기에 알맞은 반도체, 그린 비즈니스, 첨단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관련 글로벌 기업을 유치하는 것이 지방소멸을 막고 국가 산업경쟁력 키우는 방법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산업연구원도 ‘지역별 성장회계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생산성 증가율 측면에서 첨단 고부가가치 산업이 발전한 수도권의 서울, 경기와 충청권의 대전, 충북, 충남 등에서 전국 평균 대비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수도권 및 충청권 외 도 지역 등은 생산성 증가율이 급격하게 하락해 전국 평균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의 지역별 성장회계 분석 결과를 보면 강원지역의 총부가가치 증가율은 2016∼2020년 1.74%로 전국 평균(2.07%)을 하회했다.

이준영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수도권의 실질적인 범위가 확장되는 상황에서 과거 수도권에 집중된 첨단 산업이 최근 충청권으로까지 확대되는 추세”라며 “이질적인 경제 성장 구조를 고려할 때, 지역의 개별 상황을 고려한 지역균형발전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호석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