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면 상거래 정상화 등 영향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대면 상거래가 정상화되면서 지난해 5만 원권 환수율이 2018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연합뉴스 자료사진]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대면 상거래가 정상화되면서 지난해 5만 원권 환수율이 2018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연합뉴스 자료사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대면 상거래가 정상화되면서 지난해 5만 원권 환수율이 2018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2023년 중 5만 원권 환수율 동향’에 따르면 5만 원권 환수율(발행 대비 환수 비율)이 지난해 67.1%로 2018년(67.4%)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5만 원권 환수율은 2019년 60.1%에서 2020년 24.2%, 2021년 17.4% 등으로 떨어졌다가 2022년 56.5%로 회복된 뒤 지난해는 더 올랐다.

한은은 환수율이 높아진 이유로 코로나19 기간 중 대면 상거래 제약 등으로 위축됐던 화폐유통이 2022년부터 회복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음식·숙박업, 운수업, 여가서비스업 등 전통적으로 현금 매출 비중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화폐 유통이 정상화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현금 수송 회사(CIT) 2개 사의 상거래 기업 화폐 관리 업무 실적이 2019년 5조5000억원에서 2020년 3조원, 2021년 2.7조원 등으로 하락했다가 2022년 5조2000억원으로 회복된 점을 예로 들었다.

한은은 또 시중금리 상승에 따른 현금 보유의 기회비용 증가도 거론했다.

예비용이나 가치저장 목적의 화폐 수요가 줄면서 코로나19 기간 중 대규모로 순 발행한 자금이 환수됐다는 설명이다.

한은은 비현금 지급수단 확산 추세, 5만 원권 유통 수명 도래에 따른 손상권 증가 등이 향후 환수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5만원권은 2009년 6월 최초 발행됐으며, 유통 수명을 15년 내외로 본다. 조만간 수명을 다한 손상권이 나타날 가능성이 커졌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한은 관계자는 “시장금리의 변동성 확대 등에 따른 민간 화폐수요의 급격한 변화 가능성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국민의 화폐 사용에 불편함이 없게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