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주도적으로 운영하는 방안 모색을

2018 동계올림픽 경기장이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경기장 6곳은 마땅한 수익 사업이 없어 연간 60억~80억원의 적자를 기록합니다. 최근 5년 동안 운영비는 총 278억원이 소요됐습니다. 도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레저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등 경기장 수입 다각화를 모색했지만, 수지를 개선하는 데에는 한계를 보였습니다. 이른바 ‘돈 먹는 하마’로 불리는 경기장을, 수익 발생 구조로 만들기 위해서는 획기적인 전략이 필요합니다. 기업과 자본이 주도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포함해 다각적인 방안을 고민해야 합니다.

이와 관련해 최근 공개된 용역 결과는, 경기장이 소재한 지역 주민들의 시선을 끌었습니다. 강원도와 문화체육관광부, 5개 동계스포츠 경기연맹은 지난 6일 도청 제2청사에서 ‘동계올림픽 경기장 개선 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가졌습니다. 지난해 6월부터 한국개발연구원이 진행한 연구용역은, 강원도가 소유한 6개 동계올림픽 경기장 가운데 3곳의 운영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됐습니다. 용역 보고에서는 하키센터와 스피드스케이팅장을 생활 스포츠 시설·테마파크 등 다목적시설로 전환하는 방안이 제시됐습니다. 국가대표팀이 사용하는 슬라이딩센터는 이용 공백 기간, 일반인 대상 ‘스펀지 봅슬레이’ 체험 등 수익 사업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동계올림픽 경기장의 민간 위탁 안도 담겼습니다. 현재 강원개발공사가 맡고 있는 경기장 운영·관리를 민간에 맡기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취지입니다. 도는 시설물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는 운영 시스템을 수익 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위탁하는 안을 적극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당 방안이 적용되면, 본래 경기장 시설 기능은 영구 상실하게 됩니다.

경기장 운영을 개선하려면 발상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적자 폭을 줄인다는 소극적인 태도에서 탈피해, 흑자를 내는 지역 명소로 거듭나게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과 자본의 참여가 필수적입니다. 공공 기관이 직접 운영하면 현상 유지가 목적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시설의 공공성에만 집착해서도 안 됩니다. 레저 파크에서부터 관광시설에 이르기까지, 성격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사업을 벌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가능하다면 추진 기업에 지원과 혜택을 주어야 합니다. 또한 2018 평창동계올림픽이 국가적 차원에서 치러진 만큼, 정부의 관심과 노력이 당연히 뒤따라야 할 것입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