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 의대 증원과 지역인재 전형으로 의사 메워야

이번 의대 정원 증원이 지역의료를 살릴 마지막 기회라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자칫 선거용 도구로 쓰일 것이라는 우려도 있는 가운데 ‘마지막’이라는 점이 강조되는 이유는 의사단체에서 제공한 측면이 큽니다. 국민이 희망할 뿐만 아니라 역대 정부에서 의료 수요를 예측하는 여러 정책보고서를 내놓으며 의사 수 확대 정책을 실행하려 할 때마다 진료 거부와 같은 집단행동으로 번번이 좌초시켜 왔기 때문입니다.

지역사회와 호흡을 맞추며 지역대학을 이끌어야 하는 국립대 총장, 의료인력 부족 현상을 직접 겪는 국립대병원 원장들은 더욱 절감하고 있습니다. 비수도권 국립대병원장들은 2023년 국정감사에서 붕괴하는 의료환경을 걱정하며 한 목소리로 의대 증원을 요청했습니다. 의료인력의 유출 등으로 지역의료의 중추가 돼야할 국립대병원의 역할과 지위가 흔들리는 탓입니다.

비수도권 국립대 총장이 의대 교수와 의대생 반발을 설득하며 대폭 증원에 앞장선 것은 열악한 지역의료 인프라를 절감하고 지역대학 미래를 가늠하는 중대 과제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강원대뿐만 아니라 전북대·경북대 총장의 ‘일단 의료환경이 개선돼야 젊은 사람도 전북에서 아이를 낳고 지역소멸도 막을 수 있지 않겠느냐’ ‘경북 대다수 지역에 의료인프라가 부족하다’라는 설명이 보여줍니다.

특히 거점 국립대학교인 강원대 입장은 다급합니다. 글로컬대학으로 지정되기 위해 1도 1국립대를 내세우며 강원대와 강릉원주대가 합쳐 통합 강원대로 새출발하면서 2만명 규모의 전국 최대 정원으로 거듭납니다. 춘천, 원주, 강릉, 삼척 4개 지역에 캠퍼스를 거느리게 되면서 지역 수요는 그만큼 다양해졌습니다. 의료서비스가 가장 취약한 강원남부지역에서는 삼척에 강원대병원 제2병원 설치로 공공의료 서비스와 산업기반 제공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강원대병원의 양적 질적 확대가 시급한 실정이지만, 현실은 시도 거점 국립대 중 해당지역 권역  '상급종합병원'을 신청해 안된 유일한 대학병원입니다. 23년 말 강원대병원은 종합병원에서 상급종합병원 승격을 이뤄내지 못했습니다. 의대 정원 수준은 제주대와 동일한 최저입니다. 강원대 당국은 미래비전과 현안에 대해 교수 학생이 충분하게 공유하도록 적극 홍보하고 소통해 갈등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중앙정부는 의료취약지인 강원에 우선해 교육여건과 예산을 전폭 지원하고, 수도권 의대는 증원에서 배제해야 지역의료와 필수의료 구축 취지를 살릴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