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사들의 집단행동이 이어지는 가운데 지난 11일 오후 서울 보라매병원 응급실 앞에서 한 의사가 걸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 의사들의 집단행동이 이어지는 가운데 지난 11일 오후 서울 보라매병원 응급실 앞에서 한 의사가 걸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의 ‘전공의 보호·신고센터’가 12일 운영에 들어간다. 의대 교수들도 ‘제자’인 전공의 보호를 위해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를 잇따라 갖고 있다. 상급종합병원에는 ‘의료 공백’을 막기 위해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사(공보의)들이 파견된다.

12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핫라인(직통전화) 등 ‘전공의 보호·신고센터’를 이날부터 운영한다.

현장에 남았거나 복귀했다는 이유로 받을 수 있는 직·간접적 불이익으로부터 전공의를 보호해 의료 현장을 지킬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주로 젊은 의사와 의대생이 사용하는 인터넷 커뮤니티인 ‘메디스태프’에는 환자 곁을 지키는 전공의를 ‘참의사’라고 조롱하며 현장에 남은 전공의의 소속 과와 잔류 인원, 각종 특이사항을 적은 목록이 올라오기도 했다.

정부는 업무개시명령에도 돌아오지 않은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행정처분 사전 통지서를 발송 중인데, 처분이 완료되기 전에 돌아온다면 최대한 선처한다는 방침이다.

의대 교수들도 ‘제자’인 전공의와 의대생을 지키기 위해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는 오는 14일 회의를 열어 의대생들의 집단휴학과 전공의 미복귀 사태 등을 논의한다.

김창수 전의교협 회장은 “정부를 상대로 집단행동을 할 수 있다는 목소리가 크지만, 아직은 결정하지 않았다”면서도 “의대생의 유급이 현실화하고 전공의가 돌아오지 못하는 상황이 되면 교수들 사이에서 ‘자발적 사직’이나 ‘겸직 해제’ 등이 확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지난 11일 공보의가 투입된 인천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정부는 전공의 집단 이탈이 장기화하자 오늘부터 군의관과 공보의를 투입해 비상진료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 지난 11일 공보의가 투입된 인천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정부는 전공의 집단 이탈이 장기화하자 오늘부터 군의관과 공보의를 투입해 비상진료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서울의 ‘빅5’ 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두고 있는 의대 교수들도 해법 모색에 분주하다.

서울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전날 소속 교수 430명이 참여한 가운데 총회를 열고 정부가 합리적 방안 도출에 나서지 않으면 전원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뜻을 모았다.

방재승 서울의대 비대위원장(분당서울대병원 교수)은 “사직서 제출은 개별적인 것”이라고 선을 그으며 “외래진료는 축소가 불가피하지만, 응급·중환자는 어떻게든 최선을 다해 진료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서울의대 교수들이 집단 사직 가능성을 밝히면서 의료 현장의 혼란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미 일부 병원에서 시작된 교수들의 집단 사직 움직임이 더 빠른 속도로 확산할 가능성도 있다.

성균관의대 교수협의회는 12일 오후 온라인 회의를 열어 현 사태에 대해 논의한다. 가톨릭의대 교수협의회도 14일 회의를 열고 집단행동 여부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연세의대 교수협은 전날 투표를 통해 안석균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를 비대위원장으로 선출했다. 울산의대 교수협 비대위도 지난 7일 회의를 열어 자발적인 사직서 제출에 합의했다.

전날 서울대 교수협 비대위도 총회를 열어 대학의 의대 증원 신청과 전공의 사직 등 현 상황과 그간의 비대위 활동을 공유하고, 향후 대책을 논의했다.

정부는 전공의 이탈로 생긴 상급종합병원의 ‘의료 공백’을 메우기 위해 군의관과 공보의를 파견했다.

복지부는 전날 상급종합병원 20곳에 군의관 20명과 공보의 138명(일반의 92명 포함) 등 총 158명을 파견했고, 추가로 200명 정도 공보의를 더 파견할 계획이다.

이들의 파견으로 상급종합병원의 ‘구멍’을 메울 수 있겠지만, ‘지역의료 보루’ 역할을 하던 공보의들을 동원해 의료 취약지역의 상황이 악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