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기획]
현재 도내 조성 산단 71곳
지역민 일자리 창출 한몫
노후화 등 점차 기능상실
새로운 변화 융복합 필요

강원경제 활성화의 디딤돌이었던 도내 산업단지들이 국내외 악재로 성장에 한계를 드러내면서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정부의 수도권 규제 완화 정책으로 인한 기업 유치 저조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캠퍼스 산업단지’ 등 강원도만의 특화된 산단 조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도내에 조성된 산단은 71개로 평창 올림픽 관련 산업단지 등 지역에서 추진 중이거나 조성 계획 중인 산단까지 포함하면 80개가 넘는다.

도내 산단은 지역 소득 창출의 거점 역할을 해왔으며, 최근에는 일부 입주 기업들이 주식시장에 상장되면서 강원경제의 역량을 전국 무대에 알리고 있다.

산업단지로 이전한 수도권 기업들도 지역민들의 일자리 창출에 한 몫하고 있다. 최근 원주 네오플램과 만앤휴멜코리아,춘천 디아이케이,홍천 아이기스화진화장품,횡성 케이프라이드 등 국내 유수의 중견기업들이 도내 산단으로 이전,고용 창출에 앞장서고 있다.

하지만 도내 산단은 노후되고 농공단지 중심이란 점에서 성장 동력을 이미 잃은 것 아니냐는 우려섞인 분석도 나오고 있다.

1968년 소양강 댐 수몰 이주민 대책으로 조성된 춘천 후평일반산업단지는 54개 입주 업체 중 50곳만 가동 중이며 전체 47만7000㎡ 중 20%는 미 가동 상태다. 특히 전체 면적 중 23%는 비제조업체에 점유되면서 산업단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했다.

1973년 조성된 원주 우산일반산업단지와 1983년 조성된 강릉 중소일반산업단지도 노후 산단으로 기능과 역할이 과거에 비해 떨어졌다는 지적이다.

또 다른 문제는 젊은 층들의 취업 선호도가 낮다는 점이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이 내놓은 국내 산단 연령대별 취업현황을 보면 20대와 30대는 각각 14%,23%에 불과하고 대부분 40대 이상이다. 젊은 층의 산업단지 취업 회피는 대부분 경제적 이유와 열악한 근무 여건 때문이다.

김인중 강원발전연구원 선임연구원은“강원도는 타 지역과는 달리 소규모 산업단지 중심으로 대학이 산업단지로 접근하는 등 새로운 변화와 융복합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3면 안은복 rio@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