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기획] 지뢰매설 규모·피해
2010년 기준 DMZ·민통선 116만개 매설 추정
6·25 전쟁 이후 양구 89명 등 228명 인명피해

 

강원도를 비롯한 접경지역에는 6·25 전쟁때부터 지뢰가 매설됐지만 정확한 매설규모와 장소 등은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6·25전쟁 당시 유엔군에 의해 10만여발이 매설된 지뢰는 휴전협정 이후에도 꾸준히 늘었다.

유엔군사령부는 1962년 쿠바 미사일위기때 민통선 주변,북한군이 청와대 근처까지 침투한 1·21 사태 때도 DMZ와 민통선 일원에 지뢰를 매설했다.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올림픽 때는 서울 우면산을 포함한 전국의 방공포기지 주변에 지뢰가 매설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양구 해안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는 지난 1990년 양구 동북쪽 26㎞ 지점 비무장지대 안에서 제4땅굴이 발견되자 군이 헬기를 동원해 ‘발목지뢰’로 불리우는 M14지뢰를 해안면 가칠봉 인근에 무차별 살포했다는 얘기가 정설처럼 떠돌고 있다.

지난달과 지난 22일 지뢰 사고를 당한 외국인 근로자와 40대 남자가 이 지뢰를 밟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국방부가 지난 2010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DMZ와 민통선 일대에 매설된 지뢰수는 116만개에 달한다.

지뢰지대의 전체 면적은 112㎢로,이 가운데 미확인 지뢰지대가 97㎢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속초시 전체면적과 맞먹는 면적이다.

이처럼 엄청난 양의 지뢰는 접경지역 민간인들의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평화나눔회가 지난 2011년 강원도의 후원으로 실시한 ‘강원도 민간인 지뢰피해자 전수조사’에 따르면 6·25전쟁부터 60여년간 도내에서 지뢰피해를 당한 민간인은 228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양구군이 89명으로 가장 많았고 △철원군 67명 △고성군 31명 △춘천시 10명 △인제군 9명 △화천군 9명 △홍천군 8명 △평창군 3명 △양양군 2명 등 9개 시·군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양구군 해안면의 경우 200명당 5명 꼴로 민간인 지뢰피해자가 발생했다. 이는 전세계 국가 가운데 최고의 지뢰피해지역으로 꼽히는 앙골라의 200명당 1명의 민간인 지뢰피해자 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1950년대,1960년대 집계가 부정확하고 매년 지뢰피해도 계속 발생하고 있는 만큼 실질적인 피해자는 더욱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뢰사고 건수는 전쟁 직후보다 오히려 1960년대(73명)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이는 철원군 대마리와 생창리,유곡리,양구군 해안면 등 민통선내 미확인 지뢰지대에 전략촌을 만들고 민간인들을 입주시킨게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세계 최고밀도인 것으로 알려진 비무장지대나 민통선 일대에서 농지를 개간하기 위해 대인지뢰를 직접 제거하던 수많은 민간인들이 지뢰사고를 당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장병들은 물론 민간인들에게 피해를 입히고 있는 지뢰지대를 방치하지 말고 제거하는 방향으로 하루빨리 정책을 수정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양구/진종인 whddls25@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