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 평창 G-500 과제
유치 후 경색국면 우려 시선
양측 신뢰·동질성 회복 절실
DMZ 활용 사업 대안 급부상

▲ 세계유일의 분단도인 강원도에서 2018평창동계올림픽이 열린다.냉전의 산물이자 남북대결의 상징인 DMZ는 아직도 견고하게 자리잡고 있다.극단적인 대결로 치닫고 있는 한반도와 동북아 정세 속에서 평창올림픽은 그래도 평화만이 민족이 나아갈 길이라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세계 유일의 분단도인 강원도에서 2018평창동계올림픽이 개최된다.대립과 갈등으로 상징되는 DMZ는 여전히 남북을 가로지르며 역사의 현장을 지키고 있다.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국제질서는 여전히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혼돈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남북 분단의 현장,불투명한 미래 속에서 치러지는 평창올림픽은 역설적으로 평화의 의미를 극대화하고 이를 전지구적인 레거시로 만들어야한다는 숙명을 안고 있다.강원도민일보사는 평창올림픽 G-500일을 맞아 평화올림픽에 대한 범도민적,전국민적 열망을 담는 시리즈를 전개한다.


■ 유일 분단도,올림픽 통해 평화 열망

‘평화’는 평창의 첫 올림픽 유치도전 당시부터 전면에 부각됐던 평창동계올림픽의 핵심가치다.20세기 냉전이 마지막으로 남긴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유일한 분단도라는 가슴아픈 강원도의 역사적 현실은 2018평창동계올림픽을 만나면서 희망으로 바뀌어 왔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동계올림픽 유치 첫 도전에 나섰던 지난 2003년 6월 외신 기자들과 만나 “세계에서 마지막 남은 분단국가 한반도의 평창에서 동계올림픽이 열리면 전세계 인류에 평화와 화합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주게될 것”이라고 했다.하지만 정작 유치 이후에는 남북 경색국면 속에 평화이슈가 밀려나면서 우려를 사고 있다.최문순 강원도지사는 “북한참여는 어떤 식으로든 꼭 있어야 한다”며 남북단일팀 구성 등을 대안으로 밝혀왔다.강원도의회 역시 ‘남북한 참여 평화올림픽 구현 촉구 건의서’를 내고 정부 차원의 남북협력 사업추진을 촉구했다.오세봉 도의회 전반기 평창동계특위 위원장은 민간차원의 접촉가능성 통일부에 타진하고,원산 마식령 스키장 활용방안 등을 구상했었다.지난 총선을 앞두고 구자열 도의원은 도내 국회의원들의 평화올림픽 공약화를 제안하기도 했다.북한 참여방법으로 단일팀구성,공동입장,공동응원 등이 거론된다. 하지만 북한의 ‘단독 참가’만 이끌어내도 화해무드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많다.북한 참가를 희망하는 것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도 마찬가지다.

지난 23일 평창에서 열린 ‘한중일 스포츠장관 회의’에 참석한 크리스토퍼 두비 IOC 수석국장은 본지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을 포함한 최대한 많은 국가들이 올림픽을 통해 교류하길 바란다”며 “이를 위해 모든 국가올림픽위원회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남북협력 대안제시 봇물

평창올림픽이 남북간 평화이슈를 주도,양측 신뢰를 구축하는 결정적 계기를 마련한다면 각종 대회준비 비용을 훨씬 뛰어넘는,환산할 수 없는 가치가 창출된다.평창올림픽 이전의 남북관계 개선이 더욱 절실한 이유다.

그 대안으로 DMZ의 평화적 이용이 가장 많이 거론된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013년 미국 상하원 연설에서 세계평화생태공원 건립을 언급한 이후 주목받는 사업이다.정종욱 대통령직속통일준비위 부위원장은 지난 8일 강원도민일보와 강원발전연구원이 개최한 통일심포지엄에서 “강원도 DMZ에 통일을 상징하는 생태평화공원이 만들어지면 강원도민들의 열렬한 염원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상징적 사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강원도의 동질성 회복사업도 제시되고 있다. 지난해 평창에서 열린 ‘문화관광포럼’에서 차두현 통일연구원 초청연구위원은 올림픽 준비과정에서 생물다양성 복원,도내 유적 및 문화재 공동조사 등을 통한 남북강원도의 정체성 강화를 대안으로 들었다. 2032년 북한 원산올림픽 유치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평창올림픽을 전후로 ‘2032년 동계올림픽을 원산에서’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면 남북한 신뢰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여진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