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으로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르고도 소멸된 도시가 몇곳이나 있을까. 국제 스포츠 행사 유치의 목적은 스포츠를 통해 지역경제 부흥과 도시발전을 꾀하는데 있을 것이다. 그런 맥락에서 볼때 평창군은 균형발전하지 못할 경우 군청 소재지 평창읍과 남부권이 우선 소멸할 것이다.
평창군이 소멸 된다면 2018동계올림픽 도시란 말도 없어질 것이고 올림픽 유산과 상호, 상표, 지적 소유권 이 모두가 무용지물이 되는 그야말로 격동의 순간이 올것이다.
평창읍민들은 지난 1995년 지역 인구소멸 방지와 경제 살리기 차원에서 재래시장 콩나물 파시는 할머니 돈 10만원, 할아버지 돈 20만원 등 십시일반 성금을 모아 평창읍 약수리 214번지 일원 29필지 3만6000㎡의 부지를 매입, 당시 광희대학에 학교를 건립하는 조건부로 기부하면서 대학 설립의 첫발을 내디뎠다. 그동안 학교설립 인가 마저 취소되고 광희학원이 어려워지면서 2015년 광희대학과 수원여대, 주민대표 등 3자간 협의에 의해 사업권이 수원여대로 넘어갔고 수원여대가 착공, 지상 4층 연건평 9만2000㎡ 규모로 건축공사 90% 공정률에서 중단돼 방치돼 온지 10년이 됐다.
지금까지는 학교측의 사정으로 그렇다 하더라도 지난 2월 5일 수원여대 총장과 주민들의 면담에서 대학측에서는 교육부 종합감사 결과를 통보받는 즉시 건물을 준공 하겠다며 감사결과를 기다리고 있고,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측되는 6월 쯤에는 평창군을 방문, 공사 재개를 발표할수 있을 것이란 약속을 했다. 그러나 교육부 실무자와 통화하는 과정에서 올해 말까지도 감사결과는 대학측이 통보 받기가 어려울 것 같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고있다.
지금 평창군은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고도 인구소멸 고위험 군이고 정부에서 소멸 고위험지역 지자체에 예산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수원여대가 정부의 돈을 지원해 달라는 것도 아니고 조속한 행정 절차만 마무리 해주면 즉시 공사를 하겠다고 하는데 교육부에서 자체 행정절차 때문에 감사결과를 학교측에 통보하는 것이 늦어져 수원여대가 공사를 못하고 마냥 기다리고 있다.
앞으로 1년여 후에는 건물은 안전도 문제로 철거 수순을 밟을지도 모른다. 지방자치의 성공이 주민 참여에 흥망성쇠가 달렸다면 주민들 스스로 성금을 내 하는 사업들이 실패하건 말건 교육부는 뒷짐만 지고 절차만 따지고 있다면 앞으로 어느 백성이 정부를 신뢰하고 따르겠는가? 그나마 산소 호흡기를 떼기전에 새 정부는 평창 수원여대 사업 성공에 정책적 배려를 해 주시길 간절히 기대한다.
수원여대 현안 비상대책 위원회는 빠른 공사 촉구를 위해 이재명 대통령 면담을 추진하기 위한 군민 서명을 받아 면담을 신청한다. 부디 헤아려 주시길 간청드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