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 영은사 석조비로자나삼불좌상 등 문화유산 4건과 삼척 감로사 원당도가 강원도 문화유산 자료로 최근 지정고시됐다. 강원도가 21일 새로 지정고시한 강원도문화유산 자료에는 삼척 영은사 석조비로자나삼불좌상과 삼척 신흥사 석조석가여래삼존좌상, 흥선대원군 이하응 간찰 및 제문, 박시형 교지가 포함됐다.
삼척 영은사 대웅보전에 주불로 봉안되어 있는 석조비로자나삼불좌상은 1811년 제작, 보기 드문 중대형의 불상이자 경주 불석으로 만들어진 점이 특징이다.
삼척 신흥사 대응전 석조석가여래삼존좌상은 ‘운흥사사적(1870)’의 기록을 통해 1674년 심검당과 함께 조성됐으며, 17세기 후반 불석 조각을 조각한 조각승 승호스님의 기량을 확인할 수 있어, 승호스님의 초기 작품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흥선대원군 이하응 간찰 및 제문은 흥선대원군이 정치 후원자였던 신좌모에게 보냈던 간찰 29점과 제문 1점으로, 흥선대원군이 정치적으로 실각한 직후인 1874~1877년까지 친필로 작성한 고문서이다. 작성 당시 국내·외 정세 등 시대적 상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박시형 교지는 강릉의 토성이자 재지사족인 강릉박씨 가문의 인물인 박시형의 교지로, 1456년 생원시에 입격하고 받은 백패 교지(생원·진사시 합격증서) 1점과 1469년부터 1481년까지 교부받은 고신 교지(4품 이상 관직 임명장) 6점 등 총 7점이다. 당시 법제와 인장의 특징 등 사료적 가치가 높다.
삼척 감로사 원당도는 화기를 통해 조성 시기, 봉안 장소, 화사 등을 알 수 있는 불화로, 삼척 감로사를 창건한 봉석 스님이 소유하고 있던 유품이다. 생전예수재 등 의식에서 이 그림을 걸어놓고 사용했으며, 같은 유형의 작품의 제작 시기를 추정하는 데 중요한 사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