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더존비즈온 기자회견
경영권 매각 별개 사업 지속
“협조시 연내 특구 지정 가능”
속보=춘천에 본사를 둔 국내 대표 IT 기업 더존비즈온이 해외 사모펀드에 경영권을 매각한 사실이 알려지며 춘천 기업혁신파크 사업 존속에 대한 우려(본지 11월 12일자 7면 등)가 지역 사회 내에서 제기되자 춘천시와 기업혁신파크 조성 사업의 앵커기업인 더존비즈온이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반박했다.
25일 육동한 춘천시장과 김용찬 더존비즈온 대표는 춘천시청에서 공동 브리핑을 가졌다.
현장에서 육 시장과 김 대표 모두 더존비즈온의 경영권이 스웨덴계 사모펀드 운용사인 EQT에 매각된 것은 맞으나, 이와 별개로 기업혁신파크 사업은 차질 없이 진행될 것이란 입장을 밝혔다.
육동한 시장은 “지난 24일 춘천시와 더존 등은 국토교통부에 기업혁신파크 ‘통합개발계획’을 공식 제출했다”면서 “이는 해당 사업이 국가 승인 절차에 돌입한 공식 사업임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김용찬 대표 역시 “매각 계약을 할 때, 대주주가 바뀌더라도 기업혁신파크 조성 사업이 문제없이 진행되도록 충분한 조치를 했다”면서 “그동안 더존비즈온은 지역사회에 동반 성장의 의지를 여러 번 입증했다. 이번 프로젝트 역시 그 연장선”이라고 했다.
춘천시와 더존비즈온은 24일 국토교통부에 제출된 ‘통합개발계획’이 정부로부터 승인받게 되면 이후 사업 구역 지정, 토지 보상, 기반 시설 공사 등의 후속 절차에 돌입해 2033년 준공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브리핑 현장에서는 기업혁신파크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강원도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육동한 시장의 호소도 이어졌다.
춘천시는 기업혁신파크에 다수의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전략으로 현재 ‘기회발전특구’ 지정에 도전 중이다. 이를 통해 규제 혁신, 투자 촉진, 세제 지원, 기업 유치 인센티브 등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지정을 위해서는 강원도 지방시대위원회 심의, 정부 부처 검토, 중앙 지방시대위원회 심의 등의 절차를 밟아야 하지만 현재 도는 구체적 투자계획 수립, 통합개발계획 행정절차 조속 이행 등을 이유로 특구 지정 신청 절차를 지연 중이다.
육동한 시장은 “기업혁신파크 PFV에 출자자로 공동 참여하는 강원도가 지정을 실기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함께 해주리라 믿는다”면서 “도가 통상적인 수준의 협조만 해줘도 빠듯하지만 연내 지정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민엽 기자 jmy4096@kado.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