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 마스크 배분 차별발언 논란
김 실장은 지난 5일 한 공중파 방송에 출연,‘정부가 생산량 100%를 사들여 지자체가 통장 등에게 배부하는 방법을 고려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김 실장의 이 같은 발언이 알려지자 SNS에서는 “국민 생명과 관련된 일을 지역차별적인 시각으로 접근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더욱이 해당 발언은 정부가 마스크 공급 대책에 실패했다는 평가 속에 나와 더 큰 파장이 일고 있다.현재 정부 차원의 지자체 마스크 지원 대책은 전무하다.공적 마스크 구입량을 늘려 이를 약국 등을 통해 판매하겠다고 밝혔지만 정부의 공적 마스크 비율이 50%에서 80%로 늘어나면서 각 지자체에서는 개별적으로 발주한 마스크 주문량을 확보할 수 없다는 불만이 나온다.춘천시의 경우 이달 18일까지 마스크 60만장을 받기로 했지만 정부의 공적 마스크 비율 확대에 따라 마스크 확보 규모는 유동적이다.
시 관계자는 “공적 마스크 비율이 늘어난 데다 공장에서는 원료가 부족하다고 호소해 얼마나 구입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강원도민들이 미세먼지로 인해 적지 않은 피해를 입고 있다는 점도 이번 논란에 불을 지폈다.지난해 3월5일에는 강원도 전역에 사상 처음으로 초미세먼지(PM2.5)·미세먼지(PM10)주의보가 한꺼번에 발령,도민들의 일상이 마비됐다.
도내 한 지자체 관계자는 “마스크를 구입하기 위해 새벽부터 2~3시간씩 기다리는 도민들의 현실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오세현
▶관련기사 3면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내 댓글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