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적은 대형마트?…‘온라인쇼핑’ 대세
한경연 소비자 구매데이터 분석 결과 발표
대형마트 휴업 전통시장 이용률 영향 미미
오프라인 유통업 포함 지역경제 쇠퇴 우려
소비자 편의성·시장 경쟁력 저해 비판
올해 강원 전통시장 체감 BSI 역대 최저치
2023년 1월 63.6 → 올 2월 39.2 경기 흐림
온라인 쇼핑 월 거래액 20조원↑ ‘성장세’
오프라인 시장 활성화 차별 전략 절실
환경개선·디지털화 등 경쟁력 제고 필요
‘전통시장 보호’를 명분으로 도입된 대형마트 의무휴업제 도입이 10년을 넘겼지만 실효성 논란은 더욱 격렬하다.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에 비해 규제는 제자리에 머무르면서, 오히려 유통산업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더 이상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을 제로섬 경쟁의 구도로 바라보지 말고, 소비자 중심의 유통 구조 혁신과 상생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 소비 흐름은 이미 ‘온라인’
한국경제인연합회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평일 의무휴업이 도입되기 전인 2022년을 기준으로 대형마트 130만건의 소비자 구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대형마트 휴업일에도 전통시장에서의 소비는 늘어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비자들의 구매패턴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하면서 대형마트 영업규제가 오프라인 유통업을 포함한 지역 경제의 쇠퇴를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022년 주말 식료품 구매액 분석 결과,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일요일) 전통시장의 평균 식료품 구매액은 610만원으로 대형마트가 영업하는 일요일(630만원)에 비해 낮았다. 유민희 한경연 연구위원은 “대형마트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은 대형마트가 문을 닫더라도 전통시장으로 발길을 돌리는 대신 온라인 구매를 이용하거나 다른 날에 미리 구매하는 것을 선택한다”며 “구매액 분석에 따르면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은 경쟁관계가 아닌 보완적 유통채널의 성격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한경연은 해외 주요국들이 대형 유통업체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거나 폐지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은 2000년 소매업 규제를 폐지했고, 독일·영국도 종교활동 보호 외에 점포 규모에 따른 제한은 두고 있지 않다. 반면, 한국은 여전히 대형마트 규모를 기준으로 한 의무휴업을 강제하고 있어, 소비자 편의성과 시장 경쟁력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 오프라인 유통 위축, 수치로 확인된 현실
오프라인 시장의 위축은 통계상에도 드러나고 있다. 지난 2023년 1월부터 최근까지 강원지역 전통시장의 체감 BSI(경기실사지수)와 대형마트 판매액 지수(불변)를 보면 올해 2월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대형마트의 경우 2023년 1월 107.4에서 올해 2월 74.1까지 33.3p 가량 하락했다. 전통시장의 경우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같은기간 전통시장의 체감 BSI는 63.6에서 39.2까지 떨어지면서 유통 채널로서의 전통시장의 입지는 계속해서 줄고 있다는 점이 증명됐다. BSI는 100 미만이면 경기가 부정적으로 인식된다는 의미다.
반면, 온라인쇼핑은 매출액 급증을 통해 명백한 우위를 점하고 있다. 2024년 하반기 이후에도 월 거래액 20조 원 이상을 꾸준히 기록하며 오프라인 유통을 압도하고 있다. 평소 대형마트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의무 휴업일에 전통시장이 아닌 온라인몰과 슈퍼마켓으로 발걸음을 돌린다고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코로나19를 계기로 정착된 비대면 소비 문화가 지속되며, 유통업계 중심축이 온라인으로 완전히 이동한 모습이다.
■ 규제가 아닌 ‘혁신’으로… 정책 패러다임 전환 필요
이미 온라인 시장이 압도적 우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오프라인 시장의 입지를 다지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전략 수립이 절실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전통시장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순히 경쟁자를 규제하는 방식보다는 환경 개선, 디지털화, 고객 편의성 제고 등 내실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실제로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전통시장 내 전자결제 시스템 도입, 청년 상인 유치, 야시장 및 체험형 콘텐츠 운영 등으로 소비자 발길을 끌어들이고 있다.
강원도는 지난 1월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한 2025년 전통시장·상점가 활성화 지원사업 공모에서 14개 시군 28곳이 선정돼 국비 17억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에 춘천 풍물시장, 강릉 주문진종합시장, 동해 동쪽바다 중앙시장, 정선 고한 구공탄 시장 등 4곳이 문화관광형 시장으로 선정됐다. 이 사업을 통해 도는 노후시설 정비, 콘텐츠 개발 등 자생력 있는 시장 구축에 주력할 예정이다.
또 중소기업 옴부즈만은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창업과 성장을 저해하는 지방 입지규제 384건을 일괄 개선했다. 중소기업 옴부즈만은 2021년부터 테마별로 중소기업·소상공인 현장 체감형 지방규제 개선을 추진, 지난해까지 4년간 ‘중소기업·소상공인 체감형 지방규제 개선’을 통해 42개 지자체 조례의 3732개 규제조항을 개선했다.
분야별로는 전통시장 147건, 자동차 매매업 13건, 도로연결 70건, 주차장 154건으로 전통시장 관련 개선이 많았다. 특히 전통시장 정비사업의 경우 완화된 기준을 적용하도록 한 입지규제 특례를 조례에 반영하지 않고 있는 지자체에 건의해 94곳이 이를 수용했다고 설명했다.
김혜정 hyejkim@kado.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