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 30년 특별기획-제3대 도의회 활동상] 사건사고
30년 도민 기대 속 부활 ‘진통’
[강원도민일보 정승환·이설화 기자] 30년 만에 부활된 지방자치에 대한 강원도민들의 기대와 열망이 컸지만 오랜 중단기 끝에 재출범한 제3대 도의회에서는 의장선거 금품수수 사건 등 여러 우여곡절을 겪었다.제3대 도의회 출범과 동시에 치러진 전반기 원구성 과정에서는 여야의 충돌이 빚어졌으며 후반기 의장 선출과정에서는 현직 의원이 검찰에 고발 및 구속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당시 민주자유당 34명·민주당 1명·민중당 1명·무소속 18명으로 여대야소 구조로 출범한 제3대 도의회는 첫 임시회부터 파란을 겪었다.개원(1991년 7월 8일) 둘째 날인 9일 열린 제2차 본회의에서는 상임위원장 선출문제를 놓고 여야가 정면 충돌했다.또 의장선거를 둘러싼 금품수수 사건이 발생,도의회 역사상 가장 큰 오점을 남겼다.
무소속·야당의원들은 상임위원장 선거의 건이 상정되자마자 잇따라 의사진행발언을 진행,야권의 독주를 막으려 했지만 협의점은 찾지 못했다.당시 야권은 상임위원장 2석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일제히 회의에 불참,파행으로 이어졌다.
원구성과 관련한 의회 내 갈등과 반목은 후반기 때도 이어졌다.당시 후반기 의장선출 과정에서 금품수수 사건이 발생,지역정가에 파문을 일으켰다.당시 후반기 의장선거(1993년 7월 6일)에서 정계항(민주자유당·횡성) 전의원이 의장에 선출됐지만 선거 직후 같은 당 소속 의원들에게 금품을 돌린 사실이 드러나면서 결국,사퇴했다.이 사건으로 민주자유당 이태명(평창)·황정선(춘천)·허천(춘성)·송영기(삼척) 의원이 뇌물수수 혐의로 불구속 입건되기도 했다.이와 함께 정상철(원주),정인수(강릉),김덕룡(영월)의원은 전국 광역의회로는 처음으로 1993년 강원남북교류사업을 추진,통일원에 북한주민접촉을 신청했다.당시 통일원은 1년이 지난 1994년 11월17일 최종승인했다.이후 도의회와 북측의 접촉이 성사되기도 했으나 남북교류가 현실화되지는 않았다. 정승환·이설화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내 댓글 모음

